전체 글 127

상품 제품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까? _ 전자책과 강의

잘 만든 상품이라면, 잘 팔려야 한다. 문제는 소비자가 제대로 알아주지 않는 점이다. 그래서 마케터는 쉽게 알리는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다. 하지만 상품 스토리텔링은 쉽지 않다. 필자는 상품 스토리, 제품 스토리, 브랜드 스토리 등을 만드는 방법을 정리한 전자책 4권을 소개한다.   첫째는 『브랜드스토리 꿈을 이루거나 악을 물리치다』이다. 이 책은 워너비 스토리텔링과 해결사 스토리텔링 기법과 사례를 담았다. 브랜드나 상품은 그 꿈을 이루게 하거나 악(惡)을 물리쳐준다. 우리의 욕망을 이루어주고, 우리의 요구를 들어준다. 그래서 브랜드스토리는 꿈을 이루거나 악을 물리치는 이야기가 많다. 이 책은 그런 꿈을 이루는 워너비 스토리텔링(Wannabe storytelling)과 악을 물리치는 해결사 스토리텔..

"스토리텔링, 메시지를 요리하다", 정책홍보 스토리텔링 전자책과 강의

메시지를 가장 쉽게 전달하는 법, 바로 스토리텔링이다.  그래서 스토리텔링은 메시지를 요리하는 작업이다. 정부부처, 공공기관, 지자체에서 정책 홍보 마케팅을 위한 정책홍보 스토리텔링 전자책을 소개한다. 첫 번째 전자책은 『메시지로 시작해서 콘텐츠로 완성하는 정책홍보 스토리텔링』다. 정책홍보의 시작은 메시지, 스토리, 콘텐츠가 중요하다. 즉 정책홍보를 하기 위해서 홍보담당자는 정책 메시지를 개발하고, 개발한 메시지를 스토리로 엮어서, 창의적인 콘텐츠로 완성하고 미디어로 소통해야 한다. 이번에 전자책으로 발간하는 『메시지로 시작해서 콘텐츠로 완성하는 정책홍보 스토리텔링』은 그동안 정부부처, 공공기관, 지자체 강의에서 다뤘던 내용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가격은 3600원이며, 교보문고, 예스24, 알라..

사회복지 홍보, 사회서비스 상담센터 마케팅을 위한 책과 강의

사회복지기관, 전국 사회복지협의회, 지역 사회복지관, 지자체 복지재단,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심리상담센터 등 비영리 기관의 역할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고, 또 사회복지기관 홍보 마케팅은 해마다 더 필요해졌다. 필자는 이들 복지기관에서 홍보 마케팅 강의와 컨설팅을 수년간 진행하면서 좀 더 홍보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해 몇 권의 전자책으로 출간했다. 첫째, 『사회복지관 홍보전략 10단계』다. 이 전자책은 노인복지관, 청소년수련관, 아동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홍보를 처음 맡게 된 사회복지사 선생님들을 위해 쓴 홍보입문서다. 그래서 홍보의 개념부터 홍보전략, 언론홍보, 소셜미디어홍보,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홍보기술을 되도록 쉽게 풀었다. 또,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가상의..

"농식품 홍보를 위한 농식품 스토리텔링" 전자책 & 강의

농식품 홍보 마케팅을 위한 농식품 스토리텔링 전자책을 소개한다. 첫 번째 전자책은 『농식품, 스토리로 홍보하라』다. 이 전자책은 식음료 브랜드 식품 창업 스토리텔링 전략을 담았다. 농식품 마케팅이 운명인 농식품 홍보인과 마케터들에게는 고민이 있다. 바로 ‘스토리의 소재를 어디서 어떻게 발굴하고, 또 어떻게 스토리로 개발할 것인가’이다. 필자는 브랜드스토리텔링 관련해 집필도 했으며, 수년간 컨설팅, 강의, 워크숍을 진행하며 몇 가지 법칙과 기법을 발견했다. 이 책에는 농식품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과 스토리 개발 방법에 대해 정리했다. 책 목차는 다음과 같다. 가격은 5600원이며,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 주요 인터넷서점에서 판매 중이다. I. 식음료 브랜드스토리텔링 전략 사례분석..

전자책 쓰기 가이드북, 『전자책 어떻게 쓰고 만들고 팔까 (개정판)』

“강사님, 매일매일 놀거리가 생겼어요. 앞으로 몇 권은 더 만들 것 같아요!” “우연한 기회에 수강 신청했는데, 정말 이렇게 책 내리라고는 꿈에도 몰랐어요!” 필자가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부캠퍼스에서 진행한 ‘50플러스 지식콘텐츠로 전자책 만들기 과정’을 수강한 분의 말이다. 지난해 가을학기 과정에 참여해서 책 쓰고, 이펍으로 만들어서, 서점에 판매 등록까지 마친 분들은 하나같이 기뻐했다. 자신이 쓴 원고가 책이 되고, 그 책이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 인터넷서점에서 판매되는 것이 신기한 모양이다. 수강생 중 반 정도가 책을 낸다. 책을 낸 분들의 공통점은 원고 준비를 잘한 분이다. 출판기획부터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1장은 전자책에 대한 이해와 출판기획서 작성을 강의할 예정이다. 먼저,..

[신간]『전자책 어떻게 쓰고 만들고 팔까 (개정판)』 eBook 전자책

60권 저자의 전자책 만들기 강의 ▮전자책 초보자를 위한 ‘전자책 만들기’ 강의 공개! ▮원고 준비, 이펍 제작, 서점 등록, 판매 홍보까지 한 방에 해결!  필자는 2020년 3월부터 현재까지 약 3년 동안 전자책 52권을 썼다. 그전에 쓴 종이책까지 합치면 60권이 넘는다. 60권 정도 써보니, 책 쓰는 재미도 알고, 책 쓰고 만드는 방법도 어느 정도 알 것 같다. 특히, 2020년 3월 이후 전자책을 기획하고 쓰고, 직접 이펍으로 만들어보니, 자연스럽게 원고 준비부터 이펍 제작, 유통 방법, 홍보까지 섭렵하게 됐다. 이 책은 ‘60권 저자의 전자책 만들기 강의’ 시리즈의 종합편이다. 2020년에 쓴 ‘전자책, 어떻게 쓰고 만들고 팔까’에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부캠퍼스에서 전자책 만들기 과정을 202..

소셜스토리텔링은 스토리 아키텍처 설계부터_"소셜스토리텔링 콘텐츠 전략 10" 전자책

1단계. 스토리 아키텍처 설계하기 소셜스토리텔링 전략을 펼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할 일은 스토리 아키텍처 설계다. 즉, 스토리를 만들어 갈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그 기초공사가 없이는 소셜스토리텔링이 어렵다. 그 기초공사는 바로 스토리 3요소를 중심으로 만들면 된다. 첫째, 인물을 설정한다. 인물은 주로 기업이나 기관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캐릭터로 하면 된다. 빙그레의 ‘빙그레우스’, 고양시의 ‘고양이’, 진로의 ‘두꺼비’, OK저축은행의 ‘읏맨’, 한국민속촌의 ‘속촌아씨’ 등이 있다.  둘째, 배경을 설정한다. 인물이 활동할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다. 빙그레우스는 빙그레왕국에서, 고양이는 고양시에서, 속촌아씨는 민속촌에서 활동한다. 물론, 지금 현재를 배경으로 한다면 굳이 설정하지 않아도 좋다.  셋째,..

[신간]『소셜스토리텔링 콘텐츠 전략 10 : SNS 마케터의 스토리텔링 활용법』 eBook 전자책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SNS 운영과 콘텐츠 전략 작은 스토리도 전설이 된다. 거대한 영웅 설화가 입을 타고 전설이 되던 구전미디어 시대와 대기업 콘텐츠만이 매스미디어 힘으로 전설이 되던 시대는 지났다. 이제 작은 스토리도 소셜미디어를 타고 전설이 되는 시대다. 누구나 매력적인 콘텐츠와 강력한 스토리만 있다면 전설을 만들 수 있다. 바로 소셜스토리텔링의 위력 덕분이다. 소셜스토리텔링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유튜브,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만들어지는 스토리텔링이다. 기존 스토리텔링과 달리 콘텐츠가 마치 아메바처럼 살아 움직이며, 해체, 재합체, 성장, 재배열하는 비선형 스토리텔링이다. 그래서 SNS 홍보 마케팅 전략은 달라야 한다. 이제 기업과 기관의 SNS 마케터와 운영자는 ..

브랜드네임에 스토리를 담아라~ 『1시간에 끝내는 농식품 브랜드스토리 전략』 eBook

좋은 이름에는 좋은 스토리가 있다    ▼ “팀장님, 고민입니다. 다음 달에 우리 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농식품 제품 하나를 론칭하는데, 어떻게 홍보 마케팅할지 고민이에요. 제품 관련 보도자료 쓰고, 인스타그램에 카드뉴스 올리고 하면 될 거 같은데, 아닌가요? 그럼,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하죠?”  00시 농산물 유통센터에서 농식품 개발과 마케팅을 담당하는 한차장은 어제 00시 농업기술센터 김천수 연구원의 과일음료 ‘천사1004’ 론칭 협조 요청을 받고 김팀장을 찾아왔다. 한차장은 김팀장의 농식품 홍보 마케팅 클라이언트다. 김팀장은 20년 동안 기업기관에서 홍보팀에서 일다가, 독립해서 작년부터 홍보 마케팅 관련 컨설팅을 하기 시작했다.  “네, 한차장님, 너무 어려워 마세요. 저도 보내주신 자료 봤는데요,..

상담센터 이름에 사업을 보여라~ 『1시간에 끝내는 상담센터 홍보 마케팅 비법』 eBook

“김팀장님, 고민입니다. 센터 오픈한 지 벌써 1년이 지났는데, 어떻게 홍보하고 마케팅할지 제대로 감이 안 잡혀요. 홈페이지도 만들고, 리플렛도 만들었는데 그다지 효과는 잘 모르겠네요.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이용자들이 많이 찾아올까요?”  지난해 지하철역 부근에 심리상담센터를 오픈한 심원장은 홍보 마케팅 자문을 받기 위해 김팀장을 만났다. 김팀장은 20년 동안 기업기관 홍보팀에서 일하다가, 독립해서 작년부터 홍보 마케팅 관련 컨설팅을 하기 시작했다. 이번 컨설팅은 00복지재단에서 지역사회서비스 제공기관 대상으로 경영컨설팅 사업을 진행하는데, 김팀장이 홍보 마케팅 컨설팅을 맡게 되었다. “네, 원장님, 너무 걱정마세요. 저도 보내주신 자료 봤어요. 함께 하나씩 고민을 풀어가도록 하죠.”  김팀장은 심원장..